English
지난호 보기
서울대학교 온라인 뉴스레터
2025.07.09.
SNU 소식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나는 문화관
잔디광장 옆, 73동 문화관은 1984년 준공 이후 40여 년간 예술과 토론, 기념의 공간으로 역할을 해왔다. 7월 3일, 문화관 중강당 앞에서는 기존 건물의 해체를 기념하고 새로운 문화예술 복합공간의 시작을 알리는 ‘문화관 해체 의례 및 기공식’이 열렸다.
SNU 소식
SNU 샤이닝보드 5기 임명장 수여식 개최
SNU 샤이닝보드 5기 임명장 수여식이 6월 30일 열렸다. SNU 샤이닝보드는 학내의 조직문화 개선과 혁신적 아이디어 제안을 목적으로 활동하는 실무직원 중심의 조직으로, 근속기간 10년 이하의 다양한 직급 및 직렬의 직원 약 1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SNU 소식
수명 연장 기술과 웰다잉을 논하다
첨단융합학부 교육협의체 TRAIL이 주최한 제1회 SNUTI TRAIL 포럼이 ‘Redefine: 수명 연장 기술과 웰다잉’을 주제로 6월 19일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인간의 삶과 죽음을 다양한 관점에서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연구성과
이산화탄소 변화에 의한 갑작스런 엘니뇨 주기 변화
지구환경과학부 국종성 교수 연구팀이 대규모 기후 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산화탄소(CO₂)를 감축할 경우, 엘니뇨의 주기가 급격히 짧아지면서 그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주요소식
-
제35회 「자랑스러운 서울대인」 후보 추천 공고
-
서울대학교, ‘2025 생물안전관리 유공’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수상
-
인문대 새 UI 공개
-
경험을 통해 성장을 이루다. 사범대학 ‘경험과 성장’ 성장 공유회
-
조선해양공학과 김용환 교수, 美 조선학회 학술공로상 ‘데이빗슨 메달’ 수상
-
언론정보학과 이은주 교수 국제 커뮤니케이션 학회 최우수 논문상 수상
연구성과
-
의과학과 배상수 교수 연구팀, 크리스퍼 단백질 동역학 제어를 통한 높은 정확도의 유전자가위 기술 개발
-
뇌인지과학과 최형진 교수 연구팀, 임상 진단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3차원 병리 분석 프로토콜: 장 신경계 시각화 및 정량화의 향상
-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 인공 금속단백질 설계법 “Metal-Installer” 개발
-
물리천문학부 류제경 교수 연구팀, 유전자 활동을 조절하는 분자 스위치, MORC2의 작동 원리 규명
-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이재진 교수 연구팀, 판결문 비식별화, 데이터셋과 AI 모델로 해결한다
-
치의학대학원 양형철, 의과대학 정은재 교수 공동연구팀, 방사선 치료 부작용의 섬유화 억제를 위한 포스파티딜세린 기반 나노입자의 개발
-
의과대학 최무림 교수 연구팀, 단일세포 수준의 유전자 발현 조절 변이 분석을 통한 대사이상 지방간염 조절 유전변이 규명
-
수의과대학 박세창 교수 공동연구팀, 기하학적 AI를 이용한 상어 두 개안면 구조의 3D CT 스캔에서 피치(皮齒) 층의 디지털 제거를 통한 해부학적 정밀도 향상
-
농생명공학부 김영훈 교수 연구팀, 발효식품 콤부차 유래 미생물 Symbiotics을 활용한 대사친화적 반추가축 메탄저감제 개발
기부소식
-
“기부는 감정에서 시작된다.” 서울대학교, 모금실무자 협의회 통해 전략공유
-
로봇 연구의 선구자 김진오 로봇앤드디자인 회장, ‘서울공대 PRYDE Project 기금’ 2억 원 쾌척
-
공존공영의 가치 실천! 로지스올그룹 서병륜 회장, 의과대학 기금 1억 원 추가 쾌척
SNU 캘린더
파워플랜트, 유령의 방송국이 되다 〈TBC 가족 여러분 안녕히 계셨읍니까〉
2025.07.07. ~ 2025.07.27.
[SNU Commons 중앙도서관] AI로 만든 융합 영화상영회에 초대합니다.
2025.07.10.
"규장각, 별처럼 빛나는 기록의 향연" 전시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2025.01.22. ~ 2025.08.29.